top of page

75억불 규모 미국 내 전기차 충전소 건설사업 트럼프 딴지로 '좌초'

  • biznewsusa
  • 8월 11일
  • 2분 분량

전임 조 바이든 정부가 75억달러를 투입해 미 전역에 전기차(EV) 충전소 네트워크를 구축하려던 계획이 전국적으로 400개 미만의 충전소만 설치된 채 중단됐다.

이 사업은 주유소, 휴게소 등 50마일 간격으로 수천 개의 충전소를 설치해 장거리 운행시 전기차 운전자들의 ‘주행 거리 불안감'(range anxiety)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올해 초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예산 집행을 막으면서 진행이 멈췄다. 민주당 주도의 여러 주와 비영리단체 연합이 자금 집행 재개를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지만, 아직 최종 결정이 내려지지 않아 설치 작업은 계속 보류 중이다.

앤디 베시어 켄터키 주지사(민주당)는 8월6일 성명을 통해 “자금 지원 중단은 모두에게 퇴보를 의미하며 잘못된 결정”이라며 소송 참여를 발표했다. 그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는 더 이상 미래의 기술이 아니라 이미 현재 존재하며, 우리 가정과 기업에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사업은 2021년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에 따라 자금을 지원받았으며, 장거리 여행시 전기차 운전자가 충전 걱정을 덜 수 있도록 주간 고속도로와 주요 도로를 중심으로 충전소를 설치하는 것이 핵심이었다.

연방 통계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 등록된 전기차는 약 350만대로, 전체 차량 2억8700만대 중 약 1% 수준이다.

테슬라 세단과 사이버트럭, GMC 시에라 픽업트럭, 전기 허머 등 전기차수는 연방 세금공제 혜택 덕분에 빠르게 증가했지만, 많은 소비자들은 여전히 주행거리와 충전 인프라 부족을 전기차 구매 망설임의 이유로 꼽는다.

다만 통계에 따르면 상업용 배송 트럭을 제외한 미국인들의 92.5%의 이동 거리는 25마일 이하로, 현재 판매 중인 모든 전기차로 충분히 소화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부 주도의 전기차 전환 정책에 반대 입장을 고수해 왔으며, 몇 달째 충전소 자금 집행을 보류하고 있다. 민간이 자체 자금으로 설치하는 충전소, 예를 들어 테슬라가 운영하는 네트워크에는 영향이 없지만, 그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의 공개적 불화 이후 지난 7월 소셜미디어를 통해 “원치 않는 사람들에게 전기차를 강요하는 터무니없는 시도를 반대한다”고 밝혔다.

바이든 정부가 추진한 배출가스 규제 강화안은 제조업체들이 내연기관차 대신 전기차 생산 비중을 확대하도록 압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기춘 기자>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땡스기빙 연휴 망치나"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미국 내 항공편 줄취소

미국 역사상 가장 긴 연방정부 셧다운이 계속될 경우 최소 수백만명의 미국인들이 땡스기빙 휴가철을 앞두고 항공편 운항 중단으로 여행 계획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연방항공청(FAA)은 긴급 명령을 통해 11월7일 금요일부터 전국 40개 공항의 항공편 운항을 4% 감축하고, 셧다운이 지속될 경우 다음주 금요일인 11월14일까지 단계적으로 10%까지 항공편

 
 
 
트럼프 관세, 연말 쇼핑시즌 앞두고 소비자 가격에 반영된다

올해 들어 상대적으로 완만했던 관세의 물가 영향 이 연말 쇼핑시즌을 앞두고 본격적으로 소비자 가격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부터 여러 국가와 품목에 대해 부과한 광범위한 관세 조치 의 효과는 2.5~3%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인플레이션률과 맞물려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소비자물가지수(CPI)나 개인소비지출물가지수(PCE

 
 
 
연방정부 페니 생산 중단… 맥도날드 “정확한 잔돈 제공 어렵다”

미국 일부 지역의 맥도날드 매장을 방문한 고객들은 최근 잔돈 계산 방식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올해 초 트럼프 대통령이 1센트(페니)  동전의 생산을 중단한 결정의 여파로, 일부 지역에서 동전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맥도날드 미국 본사는 “전국적인 페니 생산 중단 이후 일부 매장에서 정확한 잔돈을 제공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