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4년동안 연방교육부 장관으로 일해온 벳시 드보스가 최근 교육부 직원들에게 "바이든 정권에 저항하라"고 당부했다고 정치전문매체 더힐이 15일 보도했다.
드보스 장관은 "무슨일을 하든지 항상 학생들을 먼저 생각하라"고 부탁했다. <최수진 기자>
트럼프 정부 4년동안 연방교육부 장관으로 일해온 벳시 드보스가 최근 교육부 직원들에게 "바이든 정권에 저항하라"고 당부했다고 정치전문매체 더힐이 15일 보도했다.
드보스 장관은 "무슨일을 하든지 항상 학생들을 먼저 생각하라"고 부탁했다. <최수진 기자>
MIT와 쌍벽을 이루는 미국 최고의 공과대학인 칼텍 전체학생의 43%가 아시안으로 조사됐다. 아이비리그 8개 대학과는 달리 칼텍은 인종별 쿼터(정원) 제도를 시행하지 않는 대학으로 유명하다. 이 때문에 아시안 학생 비율이 유난히 높다. 칼텍은 입학사정에서 인종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오로지 '실력'을 바탕으로 신입생을 선발한다. 하버드대 아시안 학생 비율은
하버드대가 2020년 한해동안 연방정부 로비자금으로 55만5000달러를 지출했다고 하버드대 학생신문 '하버드 크림슨'이 23일 보도했다. 이는 8개 아이비리그 대학 중 최대금액이다. 하버드대는 학생 재정보조, 보유기금에 대한 세금 문제, 리서치 펀딩 등과 관련, 백악관과 연방정부 기관을 상대로 로비를 벌였다. 하버드대는 무려 419억달러의 기금을 보유하고
캘리포니아주에서 소득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가난한 동네보다 더 빨리 학교로 돌아가 대면 수업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캘 매터스가 24일 보도했다. 이미 가주에서 하이브리드 또는 100% 정상수업을 받고 있는 학생 비율은 중산층*부유층 밀집지일수록 높다. <최수진 기자>